이 그림에는 다양한 사람이 등장합니다. 무사, 미인, 부자, 상인 할 것 없이 일반 대중들의 일상과 그들의 풍경 그리고 풍속을 그린 것이 '우키요에'입니다. 대체로 '목판화'를 가리키고, '풍속화'라는 일반명사와는 차별된 일본의 '고유명사'라고 알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일본만의 것이라는 말입니다.
이 그림에 대한 책은 시중에 많이 나와있습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이 그림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유럽 특히 프랑스로 넘어가 '인상파 화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데요, 대표적인 사람이 '빈 센트 고흐'이지요. 그래서인지 일본인들의 '고흐'에 대한 사랑은 가히 폭발적이어서, '배용준'은 명함도 못 내밀 정도라고 합니다.
그런데 근래에 이 그림이 더욱 한국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우키요에의 천재 화가로 알려진 '도슈사이 샤라쿠'가 기실 '단원 김홍도'일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이 등장했기 때문인데요. 기록 상으로 단원이 잠시 조선 땅에서 사라졌던 시기와, 샤라쿠가 일본에서 활동한 시기가 우연찮게도 일치한다는 겁니다. 게다가 도슈사이 샤라쿠의 그림은 기존 우키요에 화풍에서는 볼 수 없었던 스타일어서 그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하는데요, 글쎄요, 그것을 정설로 인정 받기 위해선 시간이 좀 더 필요하겠죠? 조선과 일본 간에 활발한 교류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단원의 천재성이 조선 땅에서 미쳐 발하지 못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사실 여부를 떠나 그런 추측이 가능할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이 책의 저자(재일한국인 강덕상 씨)의 말에 따르면, '우키요에'는 목판화인데다 풍속화여서 어디서든 구할 수 있었던 그림이어서 유럽으로도 쉽게 흘러들어갔다고 해요. 게다가 정치정략적인 이유도 여럿 섞여있었다고 하고요. 그는 이 그림에서 '조선' 그리고 '중국'을 찾아냈습니다. 《우키요에 속의 조선과 중국》에서는 '우키요에' 속에 나타난 '조선'과 '중국'을 살펴보고, 일본이 이 대중적인 풍속화를 어떻게 민중 통치를 위해 활용했는지 분석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는 일본이 역사 왜곡을 위해 고군분투했던 흔적 역시 그림에 남아있다 라는 말도 합니다.
모쪼록 한일과 중국의 관계 혹은 역사 혹은 문화를 '우키요에'라는 그림을 통해 알아보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
'도서 톺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천부적 재능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재능은 어떻게 단련되는가?>, 제프 콜빈 지음 (6) | 2010.09.04 |
---|---|
[서평] 교육강국 핀란드, 그 비결은 무엇일까? - 에르끼 아호의 핀란드 교육개혁 보고서 (0) | 2010.08.11 |
[서평] 산 처럼 생각하기 - 로버트 베이트만 지음, 김연수 역 (3/3) (1) | 2010.07.12 |
[서평] 산 처럼 생각하기 - 로버트 베이트만 지음, 김연수 역 (2/3) (2) | 2010.07.12 |
[서평] 산 처럼 생각하기 - 로버트 베이트만 지음, 김연수 역 (1/3) (2) | 2010.07.10 |